본문 바로가기
복지

복지할인 vs 알뜰폰, 어르신 요금제 비교 가이드 (2025년 최신)

by shiny-info 2025. 7. 9.

기초연금 수급자라면 복지할인과 알뜰폰 중 어떤 요금제가 더 유리할까요?

기초연금 받으시는 분은 이동통신비 복지할인이 있다는 건 알고 계시죠?

복지할인? 알뜰요금제? 두개 놓고 고민해 보신 적 없나요?

제가 비교해 보니 핸드폰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다르더라구요.

이 글로 복지할인과 알뜰폰 중 어떤 게 더 유리한지 확인해보세요.

복지할인과 알뜰폰 요금제란?

복지할인은 기초연금 수급자, 장애인, 차상위 계층 등에게 통신요금을 최대 50%까지 감면해주는 정부지원 제도입니다. 주로 SKT, KT, LGU+와 같은 통신 3사에서 제공되며, 요금제에 따라 할인 금액이 달라집니다.

알뜰폰 요금제는 통신 3사의 망을 빌려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월 1~2만원대 저가 요금제부터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 복지할인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복지할인 요금제 세부 조건

대상 할인 내용
기초연금 수급자 기본료·음성·데이터 50% 할인, 월 최대 12,100원 감면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기본료 전액 면제 + 통화·데이터 50% 할인
최대 36,850원 할인 가능
주거/교육/차상위 기본료 12,100원 할인 후 나머지 35% 할인
월 최대 30,000원 할인

✅ 기초연금 수급자는 통신 3사의 요금제에서 기본요금, 음성, 데이터 모두 50% 할인이 적용되며, 월 최대 12,100원까지 절약할 수 있습니다.

복지할인 vs 선택약정할인 비교

항목 복지할인 (기초연금) 선택약정할인 (25%)
적용 조건 기초연금 수급자 자급제폰 + 약정가입
할인율 최대 50% (월 최대 12,100원) 25%
중복 적용 ❌ 불가 ❌ 불가

결론:

  •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라면 복지할인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많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특히 요금제가 48,400원 이하인 경우, 25% 약정보다 복지할인이 더 큽니다.
  • 단말기 약정이 없고 복지 대상자일 경우, 무조건 복지할인 신청이 유리합니다.

데이터 다량 사용자용 요금제 비교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는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를 기준으로, 복지할인 요금제와 알뜰폰 무제한 요금제를 비교해봅니다.

구분 복지할인 요금제 (KT 5G 슬림) 알뜰폰 요금제 (헬로모바일 95GB)
기본요금 55,000원 44,000원
할인 적용 42,900원 (최대 12,100원 할인) 적용 불가
데이터 100GB + 5Mbps 무제한 95GB + 3Mbps 무제한
통신 품질 KT 본사망 사용 LGU+ 망 일부 공유
부가 혜택 멤버십, 포인트, 결합할인 가능 없음

 결론: 월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기초연금 수급자라면, 복지할인이 적용된 3사 요금제가 안정적인 통신 품질과 부가 혜택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그리고 가족결합 할인 등을 받으면 가격면에서 더 할인이 되기 때문에 훨씬 유리합니다.

데이터 소량 사용자용 요금제 비교

데이터는 적게 쓰고 와이파이 위주로 사용하는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의 경우 아래와 같은 비교가 가능합니다.

구분 복지할인 요금제 (LGU+ 5G 시니어 C형) 알뜰폰 요금제 (헬로모바일 7GB)
기본요금 39,000원 15,930원
할인 적용 26,900원 (최대 12,100원 할인) 적용 불가
데이터 10GB + 3Mbps 무제한 7GB + 1Mbps 무제한
통신 품질 LGU+ 본사망 LGU+ 망 일부 공유
부가 혜택 U+모바일tv 무료, 결합할인 등 없음

 결론: 월 데이터 사용량이 적은 기초연금 수급자라면, 알뜰폰 요금제가 훨씬 유리합니다. 

결론과 추천

  • 기초연금 수급자 중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65세 이상 어르신복지할인을 받을 수 있는 3사 요금제 추천
  • 전화와 문자 중심 사용이라면 알뜰폰의 저렴한 요금제가 적합

 

자신의 데이터 사용 패턴과 통신사 혜택 여부를 고려해 선택하세요.